5월 20일 병원 본인확인강화제도 알아보기

일전에 5월 20일부터 병원 방문시 신분증을 지참해야한다는 부분에 대해 글을 쓴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병원 본인확인강화제도에 대해 궁금한 점 몇가지를 정리해보록 하겠습니다. 많이 궁금하신 점을을 정리해봤으니 꼭 읽어보시고 병원에 헛걸음하시는 일 없기를 바랍니다.

1.병원 본인확인강화제도 알아보기

1.사진으로 찍어논 신분증도 사용이 가능할까요

건강보험공단이 병원에서 사용가능한 신분증으로 제시한것은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장애인등록증,모바일신분증,모바일건강보험증입니다.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것으로 사진이 있어 본인확인이 되야하고 주민번호나 외국인등록번호가 있어 본인 여부가 확인이 가능한것이어야 한다고 했는데요. 신분증 사본과 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사용이 불가합니다.

2.19세 미만의 아이들은 확인 어떻게 하나요

19세 미만은 확인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외에 의뢰/회송환자,응급환자들 또한 확인제외대상입니다. 다만 진료의뢰,회송환자는 의뢰서나 회송서를 가진 경우 1회에 한해 예외를 적용하고 이후 동일 병원에 가면 6개월 이내라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요양원 입소자 중 장기요양 등급을 받은 환자도 예외입니다.

3.신분증을 두고오면 진료를 아예 못받나요

신분증이 없어 본인확인이 안되는 경우 전액을 본인이 부담한다면 진료는 받을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않는다면 상관없습니다. 14일이내 신분증과 기타 진료비영수증등 병원 요구 서류를 지참하고 방문하면 보험 적용된 금액으로 정산해 환불도 가능합니다.

4.대리처방의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기본적으로 대리처방은 의식불명,거동이 곤란한 경우에 가능하므로 본인확인대상에서 제외됩니다.

5.매번 갈때마다 검사하나요

초진환자는 무조건 하는것이고 재진환자는 20일 제도 시행 이후 한번 확인을 거치면 6개월은 안해도 됩니다. 6개월 이내 재방문자는 제외 대상입니다.

병원 본인확인강화제도 시행에 따라 당분간은 불편함을 느낄수있을꺼같습니다. 늘 가지고 다니는 핸드폰에 모바일신분증을 깔아두는게 제일 편하지않을까 싶네요.

같이 읽으면 좋은글

Leave a Comment